매일 공부/Frontend CS

[매일메일] 웹 접근성의 개념과 개선 방법

개발하는 동그리 2025. 4. 8. 23:08
728x90
반응형

웹 접근성 장애인과 고령자 등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를 포함해, 모든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개념입니다. 마치 공공건물에 휠체어 경사로를 설치해 이동이 불편한 사람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처럼, 웹 페이지 역시 디지털 경사로를 마련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만 접근성은 단순히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네트워크 속도가 느리거나 밝은 햇빛 아래 화면을 보는 등 일상적인 제약 상황에서도, 모든 사용자가 제약 없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 접근성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웹 접근성 개선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단순하고 명확한 HTML 구조 시맨틱 태그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시맨틱 태그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해 스크린 리더가 콘텐츠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ARIA 속성을 활용하여 스크린 리더가 동적 콘텐츠나 복잡한 UI 요소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키보드로도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도록 포커스를 명확히 지정하여 키보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쉽게 해야 합니다.

이러한 웹 접근성 개선을 통해서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장애 유형을 완벽히 대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장애마다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다르고, 이를 100% 만족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많은 항목을 충족하는 데 매몰되기보다는, 우리 서비스에서 각 장애 유형 별로 사용자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스크린 리더로 탐색해보며 시각 장애 사용자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정렬하고, 기업의 상황에 맞게 점진적으로 접근성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지속 가능하고 현실적인 방식일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