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제
유니온 파인드
설명
- 유니온-파인드(또는 Disjoint-Set)는 서로소 집합(Disjoint Sets)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자료 구조로, 주로 그래프에서 연결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기법은 다음 두 가지 핵심 연산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 Find (루트 찾기): 원소가 속한 집합(트리)의 대표자(루트 노드)를 찾습니다.경로 압축(Path Compression)을 통해 트리의 깊이를 줄여 이후 연산을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최적화합니다.
- Union (집합 병합): 두 집합을 하나로 병합합니다.크기(Size Union) 또는 랭크(Rank Union)를 기준으로 병합하여 트리의 깊이를 최소화합니다.
- 각각의 리스트에서 각각의 루트노드를 가지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 병합해서 루트노드를 공유해서 관리
장점
- 효율성: Union과 Find 연산 모두 평균적으로 **O(α(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여기서 α(N)은 아커만 함수의 역함수로, 거의 상수에 가깝습니다. 크기 비교와 경로 압축을 통해 성능이 최적화됩니다.
- 적용 가능성: 네트워크 연결성 확인, 최소 스패닝 트리(MST) 알고리즘(예: Kruskal's Algorithm), 그리고 친구 네트워크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적용됩니다.
- 단순한 구현: 배열만으로 간단히 구현 가능하며, 메모리와 연산 모두 효율적입니다.
- 확장성: 동적으로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문제에도 대응 가능합니다.
코드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M;
static int[] ListA;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istA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ListA[i] = i;
}
for (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isUnionOrUnio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 (isUnionOrUnion == 0) {
Union(a,b);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ListA));
} else {
boolean union = isUnion(a, b);
if (union) {
sb.append("YES");
} else {
sb.append("NO");
}
sb.append("\n");
}
}
System.out.println(sb);
}
static int Find(int x) {
if (x == ListA[x]) return x;
return ListA[x] = Find(ListA[x]);
}
static void Union(int x, int y) {
x = Find(x);
y = Find(y);
if (x == y) return;
if (x < y) {
ListA[y] = x;
} else {
ListA[x] = y;
}
}
static boolean isUnion(int x, int y) {
x = Find(x);
y = Find(y);
return (x==y);
}
}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한 문제 풀이
https://www.acmicpc.net/problem/1717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 알고리즘 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BFS(queue) vs DFS (stack) (0) | 2025.04.12 |
---|---|
[알고리즘] DP vs 다익스트라 vs 완전탐색 구분하는 방법 (5) | 2025.04.06 |
알고리즘 기법 [메모이제이션] (0) | 2024.12.12 |
알고리즘 기법 [부분 배열 정렬] (0) | 2024.12.01 |
알고리즘 기법 [비트연산(비트 마스크)]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