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DD란!?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는 개발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 후 기능을 구현하는 것
- 모든 조건에 만족하는 테스트 진행
-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테스트 단계적 진행
- 실패하는 테스트를 점진적으로 살을 붙임
- TDD 테스트 진행 순서
- 실패 테스트
- 실패 테스트를 성공할 만큼의 기능만 구현
- 성공 테스트 -> 리팩토링
- 실패 & 성공 테스트 확인
TDD의 장점
- 테스트를 통과할 만큼의 기능만 구현 (많은 기능이 필요하지 않음)
- 테스트 코드를 추가하면서 검증하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기능 구현도 점진적으로 완성 -> 검증을 지나치지 않음
- Refactoring에 필요한 부분을 그 순간에 처리하기 때문에 리팩토링 비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듬
- 완성된 코드를 수정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의 위험부담을 줄어듬
- 코드 수정 후 피드백을 바로 받을 수 있고, 잘못된 코드를 유지한채로 나쁜 품질의 코딩을 지속하지 않음
TDD의 단점
- 테스트 코드작성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부정적
- 팀원들간에 TDD방식 개발 협의가 되어야 함
728x90
반응형
'IT 정보 >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t] Test Code (mock vs 실제 DB + 트랜젝션) (0) | 2025.03.28 |
---|---|
[Test] Slice Test (Data Access 계층) (3) | 2022.08.18 |
[Test] Slice Test (API 계층) (2) | 2022.08.18 |
[Test] Mockito (14) | 2022.07.14 |
[Test] JUnit Test 기능 (18)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