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일지/개인 회고 49

Code States 수강 16주차 - Section 4

지난주 학습 내용 [Spring WebFlux]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Spring WebFlux] Project Reactor [Spring WebFlux] Spring WebFlux 지난주에는 Spring WebFlux를 학습했다. um... pass.... 한 주동안 WebFlux을 공부해서 완벽하게 숙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매우 동의한다. 그래서 전체적인 흐름과 개념을 파악하는데 주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꽤나 피로도가 쌓였다. 그리고 남은 시간은 기존에 학습했던 내용을 복습했다. 복습은 Section 2 : Spring Framwork부터 시작했다. 처음 눈에 들어오는 내용이 상당이 많다. urclass 내에서도 계속 자료를 update 하고 있지만, 사실 새롭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이전..

Code States 수강 15주차 - Section 4

Section 4 Spring Security Authentication 인증/ Authorization 인가 Filter / Filter Chain 토큰 JWT(Json Web Token) OAuth2 Cloud 운영 환경 구성 (AWS) EC2 / RDS / S3 / 3 Tier - Architecture / Security Group 배포 컨테이너 (docker) 배포 자동화 AWS Pipeline / Github Action 지난주에는 그룹 회고라는 Zoom 세션이 있었다. 그룹 회고는 같이 학습하는 친구들과 6명씩 조를 구성하고 서로 격려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세션이다. 이번 조원들하고 학습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지난번에도 그룹 회고를 했었으나, 이번에는 좀 달랐던 것 같다. 질문들은 아래..

Code States 수강 14주차 - Section 4

Section 4 Spring Security Authentication 인증/ Authorization 인가 Filter / Filter Chain 토큰 JWT(Json Web Token) OAuth2 보안에 대한 학습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은 파악하는데 무리는 없었다. 그러나 의심할 여지없이 완벽하게 이해한 상태 또한 아니다. 누구에게 설명하고자 하면 장황하게 설명해야 할 것 같다. 페어 활동을 통해서 한 가지 깨달은 게 있다. 교육 과정이나 학습에 있어서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이 나의 강점이다. 이런 좋은 강점을 가지고서도 아쉬운 것은 전체 흐름을 파악한 다음 궁금증이나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것들을 세부적으로 파고들어 정확하게 알기 위해 깊게 파고들고자 하는 의지가 약하다는 것이다...

Code States 수강 13주차 - Section 4

코드 스테이츠 13주차 교육 Section 3 [Spring MVC] 애플리케이션 빌드/ 실행/ 배포 Section 4 인증/보안 HTTPS Hashing Cookie Session Spring Security Authentication 인증/ Authorization 인가 Filter 이번 주는 스프링에 대한 교육을 끝마치고, 보안 관련 Section 4를 시작했다. Section 3을 마치는 내 심정은 착잡하면서도 홀가분하다. 이해가 잘 되지 않았던 것들을 모두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한 마음과 끝을 맞이했다는 마음이 동시에 들었기 때문이다.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한 것들은 여가시간에 복습을 통해 메워나갈 숙제로 남겨두었다. 이렇게 바쁜 일정 속에서도 나를 위한 휴식시간이 늘어가는 이유는 어째서일까!? 😭..

Code States 수강 12주차 - Section 3

코드 스테이츠 12주차 교육 Spring Framework 트랜잭션 Test 단위 테스트 (Junit) 슬라이스 테스트 Mockito API 문서화 RestDocs 코드 스테이츠 교육 12주차를 마무리하며..... 이제 곧 프로젝트를 진행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어서 마음이 많이 조급해졌다. 그래서 이번주는 결제한 강의를 완강하고 내용을 총 정리하는등 복습에 중점을 두었다. 김영한의 스프링 강의 기본편, MVC(1), MVC(2) 완강 김영한의 JPA 활용 (1편), JPA활용 (2편) 완강 위 강의 PDF를 한번 총정리하면서 모르는 것들을 찾아서 인강을 보고 개념 정리 Urclass 자료내용중 이해가 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시 반복해서 학습 내용 정리 이번주 원래 학습 일정은 트랜잭션, Test, API문서..

Code States 수강 10~11주차 - Section 3

10주차 학습 내용 [Spring MVC] 예외 처리 @ExceptionHandler @RestControllerAdvice 공통 예외 처리 비지니스 예외 ( Checked Exception / Unchecked Exception ) [실습] Global Exception기능 구현 (3가지) [Spring MVC] JDBC 기반 데이터 엑세스 계층 JDBC 기반 도메인 Entity, 테이블 설계 JDBC 기반 데이터 엑세스 계층 구현 - Entity 클래스 정의 JDBC 기반 서비스, 리포지토리 구현 [실습] Pagenation 기능 구현 11주차 학습 내용 [Spring MVC]JPA 기반 데이터 엑세스 계층 JPA 개요 Entity 매핑 Entity 연관 관계 매핑 Spring Data JPA 데이터..

Code States 수강 9주차 - Section 3

Spring MVC Spring MVC란 무엇인가!? 동작 방식과 구성요소 Controller API 엔드 포인트 Controller의 구성요소 Controller의 기본 기능 DTO (Data Transfer Object) DTO란 무엇인가!? DTO Validation은 무엇인가!? Controller에 DTO 클래스 적용 드디어 그렇게 기다리던 9주차 수강 본격적인 Spring 공부가 시작되었다. 어렵고 이해가 안되지만, 막상 코드를 따라서 작성하고 분석하면서 중간 중간 즐거움을 느끼기도 했다. 어렵고 이해가 안되는 와중에 재미라는 감정을 느낀것이 신기했다. 그러나...즐거움도 잠깐ㅋㅋ 모르는 내용이 너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잡념이 머리속을 가득채우는 것이고, 공부하는데 있어 극복해야 할 최우선..

Code States 수강 8주차 - Section 2

코드 스테이츠 8주차 교육 Spring Framework 기본 POJO IoC / DI (제어의 역전 / 의존성 주입) AOP (관심 지향 프로그래밍) PSA (Portable Service Abstraction) Spring Boot 사용하는 이유 Spring Framework 핵심 스프링 컨테이너 빈 스코프 (Singleton) Spring DI (의존성 주입) ComponentScan (Component, Autowired) 코드 스테이츠 교육 8주차를 마무리했다. 이번 회차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전반적인 개념을 습득했다. 처음은 URClass (부트캠프 교육 자료 서비스) 교육 자료로 공부를 시작했다. 문서로 접하는 스프링은 매우 추상적으로 느껴지고 머릿속에 개념을 그리기가 너무 힘들었다. 내..

[코드스테이츠] 개발자 Q&A

여러 가지 기술이 좋을까!? or 1가지에 집중해야 할까!? -> API 계층, Spring MVC, Spring Security, 데이터 액세스 계층, JPA, Spring Data JDBC, 테스트, API 문서화 (자바만 공부해도 공부할 양이 많으니 한 분야에서 깊게 공부하는 것 추천) 현재 교육 과정을 수료하고 충분히 취업이 가능할까!? -> 프로젝트를 하나라도 끝까지 만들고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이나 아쉬운 점을 파악하고 분석해서 기록할 것 비록 해결하지 못해도 문제점에 대한 접근방식과 시도를 이력서에 잘 녹여내면 충분히 취업 가능 개발자가 되려면 얼마나 노력해야 하나요!? -> 다른 사람보다 2~3배 더 노력해라! (강사님같은 경우 첫 10개월은 하루에 2~3시간 잠을 주무셨다) -> 포기하지 ..

Code States 수강 7주차 - Section 2

코드 스테이츠 7주 차 교육 HTTP SQL 코드스테이츠에서 제공되는 교육자료는 무언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많이 느껴진다. 교육에 필요한 공식문서 링크를 참조하는 방식으로 공부할 수 있게 유도하는 것 같다. 효율면에서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가끔은 교육자료가 이렇게 허술해도 되나?라는 의문이 생겨나기도 한다. 그래서 나는 인프런을 통해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를 신청했다. HTTP 수강을 통해 전체적인 개념을 잘 설명해줘서 좋았다. 학원 교육과정만 따라갔더라면, 알지 못했을 그러한 정보들도 꽤 많아서 학원에서 제공해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크게 남았다. 지난주와 같이 zoom수업에서 강사님은 너무 완벽하게 할 필요없다. 계속해서 공부해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