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를 말하며,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정, 삭제 등 데이터의 전체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의 언어
* CREATE
-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역할
* ALTER
- 테이블 수정하는 역할
* DROP
-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삭제하는 역할
* TRUNCATE
- 테이블 초기화하는 역할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정의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레코드를 조회하거나 수정,삭제 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로, 테이블의 행과 열을 조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저장된 데이터를 실직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 SELECT
- 데이터를 조회하는 역할
* INSERT
- 데이터를 삽입하는 역할
* UPDATE
- 데이터를 수정하는 역할
*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하는 역할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거나 객체에 권하는 주는 등의 역할을 하는 언어를 말한다.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회복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 GRANT
- 특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특정 잡업에 대한 수행권한을 부여
* REVOKE
- 특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특정 잡업에 대한 권한을 박탈 또는 회수
* COMMIT
- 트랜잭셔느이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관리자에게 알림
* ROLLBACK
- 트랜잭션의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복구
DDL을 통해서 데이터 베이스와 테이블 생성, 변경, 제거를 하고,
DML을 통해 생성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입력, 변경, 수정하고,
DCL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 접근 권한 등을 수정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IT 정보 >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XML이란? (0) | 2025.04.29 |
---|---|
UC 사업 (IPT & RCC) (4) | 2025.03.28 |
Github 기능 (4편) - Git Flow (5) | 2022.08.22 |
Github 기능 (3편) - Git branch (5) | 2022.08.22 |
Github 기능 (2편) - Project / Issue / Milestone (1) | 2022.08.22 |